본문 시작
교통, 통신 발달 등에 따라 단순한 시군구 경계를 넘어서는 다양하고 다차원적인 서비스 수요가 일반화
지역간 과당경쟁ㆍ중복투자를 방지하고 유기적인 생활서비스 연계를 통해 상생발전, 주민 복리증진에 공동으로 대처할 필요
전국 어디서나 주민이 불편함이 없이 기초인프라, 일자리ㆍ교육ㆍ문화ㆍ복지 서비스가 충족되는 주민 일상생활의 공간 중심도시, 농어촌중심지(읍면), 배후마을을 포괄하는 개념
주민ㆍ지자체가 주도하여 ‘중심도시-농어촌중심지-마을’을 공공ㆍ상업 서비스를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계ㆍ설정한 권역
인구, 지리적 특성, 공공∙상업서비스 분포 등을 감안하여 중추도시생활권, 도농연계생활권,농어촌생활권,
수도권시범생활권으로 구분
중추도시생활권 : 대도시 주변, 중소규모 도시 연접지역
도농연계생활권 : 1~2개 중소도시(중심기능)와 인근 농촌지역
농어촌생활권 : 2~3개의 농어촌 및 배후마을로 구성된 지역
수도권시범생활권 : 수도권 지자체 요구에 따라 구성된 7개 생활권